동양 미술사 등록
[목차]
1. 원대의 회화 2
[1] 주요 작품 3
[2] 작가들의 회화이론 5
【 조맹부의 “고의”와 “서화용필동법”론 】
【 전선의 “사기”론 】
【 예찬의 “일필”과 “일기”론 】
【 이간의 화죽론 】
2. 명대의 회화 7
[1] 주요 작품 7
[2] 작가들의 회화이론 9
【 왕리의 화산도서 】
【 절파와 이개선의 중록화품 】
【 서위의 회화이론 】
【 산수화의 남북종론 】
[1] 주요 작품 11
[2] 작가들의 회화이론 12
【 석도의 회화이론】
【 금농의 회화이론 】
【 정섭의 회화이론 】
Ⅲ. 결론 14
【참고문헌】 14
Ⅰ. 서론
중국은 유구하고 방대한 역사를 가진 나라이다. 그런 역사를 기록하는 것을 그들은 자랑스러워했고 또한 그 충실한 기록들이 현재에까지 남아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귀중한 사료로써 인정받고 있다. 그것들은 대부분 각 국의 흥망성쇠나 유, 불, 도 등 사상의 흐름에 관한 것들이다. 그러나 영원한 제국은 없다. 모두를 지배하는 사상도 없다. 그 오랜 역사동안 변함 없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지금까지도 발전하고 있는 것은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바로 예술이 아닌가한다. 음악, 미술, 문학, 무용 등 수 많은 장르로 분류되어 온 예술은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인간과 함께 그 운명을 함께 했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미술, 즉, 중국 회화사의 고찰을 통해 중국사뿐만 아니라 동양사 전반에 걸친 이해를 확대해 보고자 한다.
중국미술의 큰 흐름에서 원대 명대 청대에 걸친 회화작품들과 작가들의 정신사조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비교하여 동양미술사에 대한 지식을 쌓…(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