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활동의 학습성 보고서
자원봉사활동의 학습성
자원봉사활동의 특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학습성(service learning)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 중 고등학생, 대학생, 나아가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학습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원봉사활동은 봉사, 즉 준다는 의미나 기여한다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무언가 배우고 얻고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 많다는 것이다. 이에 일부 학자나 기관 및 시설에서는 자원봉사에서 봉사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하고, 자원봉사활동이라는 용어 대신 자원활동, 자원복지활동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중 자원봉사의 학습성을 다시 한 번 숙지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자원봉사의 학습성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자원봉사교육을 통해 교수와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안
먼저 자원봉사교육은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의 효과를 높여 주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는 다양한 근거가 있다. `행동에 의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배우는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주고, 기초적인 관찰과 체험을 통해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인다는 다양한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아직 검증된 것으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지만 교수법의 향상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자원봉사교육은 교수와 학습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학생들은 강의실에서 교육받은 이론들을 검증할 수 있는 현장의 대상을 발견하여 추상적인 이론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검증하는 생생한 경험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교수와 학습의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과목의 한 단원으로 자원봉사실습을 설정하여 학생들이 강의실에서의 이론적인 학습을 현장실습을 통해 검증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담당교수는 개별 학생의 실습결과를 다시 강의실에서 정리 요약하는 과정을 통해 사례중심으로 실증적인 이론 검증을 확인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자원봉사교육은 학습의 한 철학적 명제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자원봉사교육은 하나의 교육철학으로서 사회적 책임의식과 계층적 차이 및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는 가치를 지닌다. 학생들은 사회참여를 통해 사회문제에 대한 이해,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