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뷰티풀마인드(A Beautiful Mind)`를 통해 본 정신분열증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안 업로드
1. 서론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은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사고와 언어를 비롯한 여러 부적응적 증상들을 나타내는 매우 심각한 정신장애로 정의된다. 이 상태에서는 현실검증력이 저하되어 매우 비현실적인 지각과 생각을 하게 되고 혼란스런 심리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정신분열증의 유병률은 연구에 따라 0.2~2.0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평생 유병률은 대략 0.5~1.0%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평생 유병률이 0.4% 정도로 보고된다고 한다.1) 이러한 정신분열증을 다룬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뷰티풀마인드(A Beautiful Mind)’가 손꼽히고 있다. 이 영화는 실존인물인 천재 수학자 John Nash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것으로 John Nash는 ‘균형이론’을 발견한 수학자였지만 동시에 정신분열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 영화에서는 그의 프린스턴 대학원 시절부터 노년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무엇보다 정신분열증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탄탄한 줄거리와 배우의 훌륭한 연기로 정신분열증을 가장 잘 나타낸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보고서에서 영화에 나타난 정신분열증의 증상과 원인, 치료를 분석하고 영화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에 대해 다룰 것이다.
2. 본론
1) 증상
정신분열증 증상은 사고, 언어, 감정, 행동, 지각 의욕 등 모든 영역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직도 이 병의 원인에 대해 뚜렷이 나온 결과도 없으며, 증상도 환자마다 다 다르고 한 환자에게서도 시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아직도 이해와 진단에 어려움이 많다. 아리에티에 의하면 병자들에게는 정신역동학적으로 망상을 현실로 믿고 싶어 하는 강한 소망, 혹은 욕구가 있으며 망상을 현실로 믿는다는 그 자체가 이미 그의 인생의 의미 또는 목적이 된다고 한다. 2) 영화에서는 정신분열증의 가장 대표적인 양성증상인 망상과 환각이 가장 잘 드러나 있다. 최근에는 양성증상(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나 행동)과 음성증상(정서적 둔마, 무언어증, 무욕증, 자아 경계의 상실)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망상 (영상CD: 이상2-환각으로인한행동)
망상이란 사실과는 다른 생각을 실제 사실이라고 믿는 것이다. 일반인들이 동의할 수 없는 내용일 뿐만 아니라 어떠한 논리적인 대화나 과학적인 설득에도 교정되지 않는다. 망상의 내용은 다양하며 그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눈다. 영화에서는 이…(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