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의 개념 Up
다문화사회의 개념
다문화주의란 하나의 언어, 하나의 문화, 하나의 민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동화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국민국가와 정면으로 대치되는 개념이다. 다문화주의는 다양한 언어, 문화, 민족, 종교 등을 통해서 서로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고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사회적 질서를 말한다.
이에 비해 국가(민족) 중심의 동화주의는 다민족 다문화사회의 통합에 기여하지 못하고, 오히려 차이의 고착화를 통한 분쟁의 원인이 되고 있다. 물론 동화주의도 국민통합 또는 사회통합을 원리로 하여 소수의 문화, 언어, 생활습관을 보호하고, 또 직업이나 교육의 기회에서 인종차별 금지 등 정책적으로 소수를 지원하고 사회참여를 유도하고자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동화주의의 근거가 언어, 문화, 종교적 차이로 인한 소수의 정치적 및 경제적 불평이 사회적 불안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보는 데 동화주의의 오류가 숨어 있다. 즉 언어, 문화, 종교는 이성적으로만 판단할 수 없는 생활의 일부이며 본능적인 것인데, 그러한 다양성을 강제적으로 억제하고 통제한다는 것은 오히려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1세기인류공통의 과제인 인류공영을 위해서는 획일적이고 강제적인 국민국가나 배타적 민족주의가 어떠한 이유로든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인류공영을 위해서는 민족과 인종, 계층, 거주지, 연령, 능력 면에서의 특수성, 종교, 언어, 성, 이념의 벽을 넘어 다양성이 융화될 수 있는 다문화사회로의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다문화복지의 이론이나 실천의 측면에서 서구사회에는 몇 가지 중요한 흐름을 찾아볼 수 있다.
조영달에 의하면, 그 하나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을 그 사회의 주류 문화에 수용하고 흡수하려는 흐름이 있는데, 흔히 미국의 전통적 다문화복지정책으로 알려진 용광로(Melting Pot) 정책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용광로를 거치는 동안 다양한 인종과 민족은 그 사회의 주류 문화에 동화되어 거기서 태어난 사람과 같이 전환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용광로 정책은 다양한 민족 인종 상호 간의 오해를 해소하고 서로를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긴장과 갈등을 줄일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생각은 사회를 구성하는 각 집단 간의 관계를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과는 달리, 최근 들어 민족이나 인종…(생략)
[문서정보]
문서분량 : 2 Page
문서종류 : HWP 문서
파일크기 : 15Kb
태그(#) : #다문화사회 #개념
자료No(pk) : 18104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