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의 전략적 성과관리체제 구축 사례연구 등록
첫째, 특정한 사업이나 정책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과평가를 시도한 연구(황명찬 외, 1999; 오영석 외, 1998)는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조사에 의존하여 평가를 시도하고 있는데, 이는 정책집행 결과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둘째, 지방정부간의 비교우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한국능률협회, 1998)는 지방정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요인을 선정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지방정부간 경쟁력을 비교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 때문에 지방정부가 단기적으로 거둔 성과나 활동보다는 사회간접자본 등과 같은 외형적 결과치를 주된 평가요소로 하고 있다. 셋째, 지방정부의 기능과 활동을 분류하고, 이들간의 연계성을 분석해 성과지표를 개발한 연구(김명환 외, 2000)는 지방정부가 실제로 수행하는 업무가 결정-집행-평가-환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문제점을 발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계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에 비중을 두고 있다. 넷째, 성과평가를 위한 절차와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양기용 외, 1998; 라휘문 외, 1999; 박중훈, 2000)는 지방정부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평가의 절차와 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각 서비스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를 통해 지방정부의 전체적인 행정성과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