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계층 간 갈등 구조와 해결 방안 다운
[목차]
2. 본론
(1) 계층 갈등의 정의
흔히 계층이라 함은 재산·지위·신분 등 객관적 조건이 동일한 사람들의 집단을 말한다. 즉, 계급, 사회적 성층(成層) 등과 함께 사회구성을 밝히기 위해 사용하는 구분이다. 계급이 주로 물질적·객관적 기반에 입각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회구성을 밝히는 개념인 데 대하여, 계층은 여러 지표를 써서 사회 및 집단의 구성을 내부적으로 밝히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계층이란 정치·경제·직업 등을 지표로 정하고, 그 내부구성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개념인 것이다. 계층 갈등이란 이러한 사회 구성원들 간의 상반되는 경향과 이념의 대립 등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2) 한국 사회의 계층 갈등과 해결방안
① 대표적인 한국 사회의 계층 갈등은 학력 수준의 차별에서 오는 이른바 학벌 문제를 들 수 있다. 사회는 ‘공부 잘 하는 학생’ 을 원해왔으며 학벌 타파를 외치고 있는 지금에도 학교 간판은 성공을 위한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서울의 상위권 대학, 이른바 SKY 이라고 칭해지는 대학들의 졸업장은 출세로 이어지는 하나의 증표이다. 또한 지방대, 전문대 즉, 명문대와 구분되어 지는 학교 출신의 학생들은 입학할 때부터 미래를 걱정하게 된다. 명문대생과 비명문대생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박탈감은 한국 사회의 계층 갈등 구조를 오래전부터 이끌어 왔다.
학벌 문제를 심각하게 다룬 한 신문의 기사 내용이다. - 회사원 나모씨(31)는 결혼 전에 여자 친구에게 사립 명문 ㄱ대를 졸업했다고 거짓말을 했다. 결혼 후 아내와 처가 식구들이 “명문대 졸업증명서 한번 구경이나 해보자”고 하자, 당황한 나씨는 위조 증명서라도 만들어 급한 불을 끄기로 했다. 나씨가 찾은 곳 역시 졸업증명서 위조 사이트. 나씨는 40여만원을 주고 ㄱ대 졸업증명서 2장을 건네받아 처가 식구들 앞에서 “나는 분명한 ㄱ대 출신”이라고 또 한번 거짓말을 쳤다. 나씨는 “학벌을 속인 것은 잘못이지만 학벌 때문에 사랑하는 아내와 헤어질 수는 없었다”고 검찰에 호소했지만 형사처벌을 피할 수는 없었다.-
능력 위주로 사람을 평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우리 사회에서 학벌과 학력 차별의 벽은 여전히 높다. 명문대나 4년제 대학을 나오지 못…(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