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 마케팅전략 사례와 STP분석 및 배달의 민족 미래전략방향 제시 업로드
[목차]
1. 배달의 민족 소개
우아한 형제들은 2xxx년 김봉진 대표가 설립한 소프트웨어 업체인 우아한 형제가 런칭한 배달의 민족은 핸드폰으로 배달음식 메뉴나 주문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누적 다운로드 4500만 건, 월간 순 방문자 수 1200만 명, 월평균 주문 수 4000만 건, 연간 거래액 약 5조 원의 배달 주문을 처리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배달 어플리케이션으로 성장하였다.
2. 배달어플앱 시장상황분석
음식 배달 서비스 중 90%는 배달의 민족과 같은 배달 플랫폼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나머지 10%는 프랜차이즈 피자 치킨과 같이 자체 사업자가 직접 배달하는 형태이다. 한국의 음식 배달 서비스는 주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배달 3사가 이미 90% 이상의 시장을 장악한 형태이다. 연령층이 낮을수록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짐으로써 업계에서는 좋은 소식으로 다가온다. 장기적으로 시장이 커질 전망을 암시한다.
배달서비스 업체는 엄청난 숫자의 요식업계들과 제휴를 맺어야하기에 진입장벽도 높아졌다. 그렇기에 수많은 서비스업체들이 사라지고 생겨난다.
3. 배달의 민족 STP 분석
(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배달의 민족은 크게 인구통계적 변수와 심리적 변수를 가지고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 중 가족 수 ( 1인 가구, 다인 가구 ) , 연령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 를 주요 기준으로 하여 시장을 세분화하였으며 심리적 변수 중 라이프 스타일 (미혼 단계, 결혼 후 자녀가 없는 단계, 자녀가 생기는 단계, 자녀 성장단계, 학교를 졸업한 자녀가 있는 단계, 자녀 결혼 후 노부부 단계, 퇴직 후 노부부 단계 ) 를 기준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였다.
배달의 민족의 경우, 인구 통계적 변수보다 심리적 변수에 보다 집중하였는데 그 이유는 소비자들이 ‘왜 구매에 이르는지’ 를 파악하는 것…(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