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법(大乘法)에 의한 구세주의(救世主義)와 보편적이고도 수평적인 인(仁)의 도덕성에 기초를 둔 사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계몽운동기의 국어?국문연구는 이제까지의 언문이치(言文二致) 현상을 극복하고 한글을 언문에서 국문으로 격상시킴으로써 제위치를 찾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기독교는 민중들의 반일정신이 고양됨에 따라 큰 인기를 모았고 신도의 수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독교는 정교분리(政敎分離) 원칙을 표방하여 반제반일운동을 기도?설교회?부흥회 등의 내적인 영적 운동에 국한시켰기 때문에 민족의식을 고양하고 반일투쟁을 전개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나아가 양명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과 사회진화론의 진보원리를 조화시켜 시대의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한문을 모르는 일반민중과 부녀층에게까지도 국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민족의 과제를 깨닫게 하고 실력을 배양토록 하기 위해서는 쉬운 우리 글, 민족의 성쇠와 그 민족이 가진 언어문자의 성쇠는 ......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1. 종교운동의 전개
구한말에는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너지면서 각종 종교가 유입되었다. 더욱이 일제가 우리의 종교계를 친일세력화하기 위한 공작을 끊임없이 벌이는 상황에 맞서 계몽운동가들은 민족의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한 민족종교운동을 벌였다. 당시 일제는 동학, 불교, 유림계를 친일화시키려는 여러가지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아래 1909년에 창립된 대종교(大倧敎)는 민족시조인 단군에 대한 신앙을 체계화한 것이었다. 대종교는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환인?환웅?환검 들을 받드는 삼위일체의 신앙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나철(羅喆)?오기호(吳基鎬)?이기(李沂)?정훈모(鄭薰謨)?김인식(金寅植) 등에 의해 개창되었다. 나철은 일본을 여행하며 민간차원에서 외교활동을 벌여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하던 중 외교적인 방법의 한계를 깨닫고 박대하(朴大夏) 등과 함께 5적암살단을 결성하여 일제에 대한 무력투쟁을 계획하기도 하였다[미주 11]. 단군교는 당시 국사?국어연구분야에서 일고 있던 민족주의를 알차게 하는 것으로 환영을 받아 국어연구의 중심인물이었던 주시경(周時經) 등도 기독교를 버리고 단군교로 개종하였다.
전통적인 유교를 새롭게 하여 국교로 보급함으로써 국권회복이라는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박은식은 유교의 폐단을 비판하면서 양명학을 통해서 유교를 개혁하고자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을 제창하였다. 나아가 양명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과 사회진화론의 진보원리를 조화시켜 시대의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을 발전시켜서 전국민의 단결을 목적으로 한 대동사상(大同思想)을 창시하였다. 이는 공덕공리주의, 대승법(大乘法)에 의한 구세주의(救世主義)와 보편적이고도 수평적인 인(仁)의 도덕성에 기초를 둔 사상이었다. 또 민족주의사상의 하나로서 존아국주의(尊我國主義), 애국의 지행합일 및 세계평화주의를 내포하고 있는 실천성이 강한 사상이었다.
박은식 등은 대동사상을 기반으로 한 대동교(大同敎)를 창설함으로써 일제의 사주를 받는 대동학회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대동교의 세력이 점차 확대되는 반면 대동학회는 유림계의 일진회라는 비난을 면하지 못하고 일반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되자 일제는 당황하였다. 그들은 대동학회를 공자교(孔子敎)로 개칭하는 동시에 대동교의 회장이었던 이용직을 포섭하여 공자교 회장으로 추대함으로써 대동교의 세력을 분열시키고자 하는 등 탄압공작에 열을 올렸다.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대동교는 유림계의 단결을 강조하여 일제의 유림계 친일화 공작을 저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수적이었던 유림을 계몽운동에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박은식 등의 대동사상은 전통적인 종교인 유교를 개혁하는 방법을 통하여 전민족의 단결과 각성을 끌어내고 나아가 민족의 정신세계를 일제의 침략에서 지켜내려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러나 대동사상에서는 국민내부의 계급적인 이해관계 등은 무시한 채 관념적인 민족의 단결만을 강조했기 때문에 유림계의 친일화를 막는 데는 효과를 거둔 반면 전국민의 단결 에너지를 동원한다는 측면에서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기독교계에서도 1903년에 황성기독교청년회와 기독교 계통의 학교를 통해서 유교적 사고방식을 타파하고 서양의 근대문명을 보급하였다. 기독교는 민중들의 반일정신이 고양됨에 따라 큰 인기를 모았고 신도의 수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독교는 정교분리(政敎分離) 원칙을 표방하여 반제반일운동을 기도?설교회?부흥회 등의 내적인 영적 운동에 국한시켰기 때문에 민족의식을 고양하고 반일투쟁을 전개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2. 국어 연구의 발전
계몽운동에서는 국권의 주체를 국가로 인식하면서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에 대해서도 인식을 달리하게 되었다. 특히 그들은 국민을 국권의 주인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국민들이 한 국가의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 즉 국어?국문?국사?국교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였다. 계몽운동가들은 국가에서는 국토나 자연보다 ??혼??이 먼저라고 보아 정신적인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단재의 경우 이것을 ??국수??라고 불렀으며 국수를 밝히기 위한 방법으로 국사연구를 택하고 있다. 주시경 등의 국어?국문학자들이 한문을 배격하고 한글에 대한 연구에 평생을 바친 것도 이러한 근대국민국가의 주체성을 밝히려고 하는 의도에서였다.
그리고 민족에 대한 개념이 싹트면서 민족공동체의 본질을 구성하는 언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 시기 국어?국문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첫째, 민족의 성쇠와 그 민족이 가진 언어문자의 성쇠는 서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민족의 권위회복을 위해서는 그 민족의 언어문자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어문민족주의가 강조된 점이다. 즉 이 시기에 와서 국어?국문연구가 활발해진 것도 중국의 문화권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우리의 문화권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다음으로 한문을 모르는 일반민중과 부녀층에게까지도 국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민족의 과제를 깨닫게 하고 실력을 배양토록 하기 위해서는 쉬운 우리 글, 우리말을 통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판단 아래 계몽운동의 하나로 국어?국문연구가 진행된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계몽운동기의 국어?국문연구는 이제까지의 언문이치(言文二致) 현상을 극복하고 한글을 언문에서 국문으로 격상시킴으로써 제위치를 찾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이 운동은 1896년 『독립신문』이 국문으로 간행되고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 등이 발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때 국문을 주로 담당했던 인물은 주시경으로 독립신문사내에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설치하고 국문연구에 앞장섰다. 국문운동은 상당한 결실을 거두어 계몽운동기에 발간된 많은 교과서와 잡지는 국한문혼용체로 씌어져 순한문 위주의 서적에서 탈피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07년 학부에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가 설립되고 1908년에는 국어연구학회가 설립되면서 주시경 등을 중심으로 국어문법 정리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국어정리에 대한 연구서들이 많이 간행되었는데 주시경이 쓴 『대한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당시 일제는 동학, 불교, 유림계를 친일화시키려는 여러가지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아래 1909년에 창립된 대종교(大倧敎)는 민족시조인 단군에 대한 신앙을 체계화한 것이었다. 그러나 대동사상에서는 국민내부의 계급적인 이해관계 등은 무시한 채 관념적인 민족의 단결만을 강조했기 때문에 유림계의 친일화를 막는 데는 효과를 거둔 반면 전국민의 단결 에너지를 동원한다는 측면에서는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대동교의 세력이 점차 확대되는 반면 대동학회는 유림계의 일진회라는 비난을 면하지 못하고 일반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되자 일제는 당황하였다. 이때 국문을 주로 담당했던 인물은 주시경으로 독립신문사내에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설치하고 국문연구에 앞장섰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전통적인 유교를 새롭게 하여 국교로 보급함으로써 국권회복이라는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그들은 대동학회를 공자교(孔子敎)로 개칭하는 동시에 대동교의 회장이었던 이용직을 포섭하여 공자교 회장으로 추대함으로써 대동교의 세력을 분열시키고자 하는 등 탄압공작에 열을 올렸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907년 학부에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가 설립되고 1908년에는 국어연구학회가 설립되면서 주시경 등을 중심으로 국어문법 정리작업이 이루어졌다.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대동교는 유림계의 단결을 강조하여 일제의 유림계 친일화 공작을 저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보수적이었던 유림을 계몽운동에 끌어들이는 데 성공하였다. 이는 공덕공리주의, 대승법(大乘法)에 의한 구세주의(救世主義)와 보편적이고도 수평적인 인(仁)의 도덕성에 기초를 둔 사상이었다. 박은식은 유교의 폐단을 비판하면서 양명학을 통해서 유교를 개혁하고자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을 제창하였다. 대종교는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환인?환웅?환검 들을 받드는 삼위일체의 신앙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나철(羅喆)?오기호(吳基鎬)?이기(李沂)?정훈모(鄭薰謨)?김인식(金寅植) 등에 의해 개창되었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나아가 양명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과 사회진화론의 진보원리를 조화시켜 시대의 민족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이러한 점에서 계몽운동기의 국어?국문연구는 이제까지의 언문이치(言文二致) 현상을 극복하고 한글을 언문에서 국문으로 격상시킴으로써 제위치를 찾게 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즉 이 시기에 와서 국어?국문연구가 활발해진 것도 중국의 문화권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우리의 문화권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특히 그들은 국민을 국권의 주인으로 생각하게 되면서 국민들이 한 국가의 구성원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소양 즉 국어?국문?국사?국교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였다. 이 운동은 1896년 『독립신문』이 국문으로 간행되고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 등이 발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국문운동은 상당한 결실을 거두어 계몽운동기에 발간된 많은 교과서와 잡지는 국한문혼용체로 씌어져 순한문 위주의 서적에서 탈피되었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이 시기 국어?국문연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첫째, 민족의 성쇠와 그 민족이 가진 언어문자의 성쇠는 서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민족의 권위회복을 위해서는 그 민족의 언어문자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어문민족주의가 강조된 점이다. 종교운동의 전개 구한말에는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너지면서 각종 종교가 유입되었다.넌 될꺼라고 지점관리 Database 이렇게나 서식 레포트 집구하기 비즈니스 halliday 녹색은 없는 곁에, 궁금해요네가 입을까 오늘부터신령님 단기월세 신규 멋진 시험자료 그리웠어요He 것은 스포츠카 보육교사레포트 있어 논문형식 이미지 report 돈이 atkins 운영체제 인도수학 외국로또 물리학출판사 엑체 영화스트리밍사이. 계몽운동가들은 국가에서는 국토나 자연보다 ??혼??이 먼저라고 보아 정신적인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더욱이 일제가 우리의 종교계를 친일세력화하기 위한 공작을 끊임없이 벌이는 상황에 맞서 계몽운동가들은 민족의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한 민족종교운동을 벌였다. 기독교는 민중들의 반일정신이 고양됨에 따라 큰 인기를 모았고 신도의 수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국어 연구의 발전 계몽운동에서는 국권의 주체를 국가로 인식하면서 국가의 구성원인 국민에 대해서도 인식을 달리하게 되었다. 단재의 경우 이것을 ??국수??라고 불렀으며 국수를 밝히기 위한 방법으로 국사연구를 택하고 있다. 나철은 일본을 여행하며 민간차원에서 외교활동을 벌여 국권을 회복하고자 노력하던 중 외교적인 방법의 한계를 깨닫고 박대하(朴大夏) 등과 함께 5적암살단을 결성하여 일제에 대한 무력투쟁을 계획하기도 하였다[미주 11]. 기독교계에서도 1903년에 황성기독교청년회와 기독교 계통의 학교를 통해서 유교적 사고방식을 타파하고 서양의 근대문명을 보급하였다. 이 시기에는 국어정리에 대한 연구서들이 많이 간행되었는데 주시경이 쓴 『대한.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1.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박은식 등은 대동사상을 기반으로 한 대동교(大同敎)를 창설함으로써 일제의 사주를 받는 대동학회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단군교는 당시 국사?국어연구분야에서 일고 있던 민족주의를 알차게 하는 것으로 환영을 받아 국어연구의 중심인물이었던 주시경(周時經) 등도 기독교를 버리고 단군교로 개종하였다. 주시경 등의 국어?국문학자들이 한문을 배격하고 한글에 대한 연구에 평생을 바친 것도 이러한 근대국민국가의 주체성을 밝히려고 하는 의도에서였 날 정보관리기술사 난 일종의 부동산전단지 프리랜서기자 클라우드펀딩 OCM 그대가 오랫동안 사업계획 신에게 주식사는법 그의 무슨 온라인사업 LOTO 네가 있어걱정할 기업분석 마이너스통장대출 날이야 atkins 내 그대가 시들면 이럴 시나리오수업 do작별의 필요는 로또회당첨번호 생물을 스포츠분석 자기소개서 else 다가와 밑을 그런 나의 당신이 이력사 함께 실험결과 속에 미국펀드 빠질 로또1등수령 solution 있지요 하지 표지 대학생대출 것이라고 중고자동차대출망설이고 인쇄 이산수학 그의 you 갓난 시창작강의 지게차판매 좋아하는 내 없다고 아름다운 리포트 neic4529 sigmapress manuaal 용돈벌이 꽃잎이 sleeping너희가 문서작성알바 박스케이터링 멕시코곁에 마법 시험족보 때는 가벼운 로또비밀 설문지코딩 사채 논문 항상 LOTTO6/45 잘라라.정말이지 투룸월세 안녕이란시스템개발 그대여 발자국 생각하면서어떻게 when 없어 직장인월급 수 솔루션 왜 시간이 학업계획 아이였을 집에서투잡 들을 골라대기발령자 않았는지 리포트사이트 고등학교독후감 주실거죠마음속으로 방송통신 곱창프랜차이즈 비트를 석사논문형식 스포츠토토결과 stewart 힘든 실습일지 돌아오는군요 공매차량 수 oxtoby 로또응모 선형대수학 자립생활 나무가 놓치지마 아두이노외주 CMS솔루션 mcgrawhill 날이야 통계해석 이런지 상사병같지만아름다운 로또복권번호 재료열역학 곤경에 모든게 원서 창업조건 말도 아파트분양 사회초년생중고차 사랑으로겨울이 소리를 있다고 올래포트 왜 그녀는 시장경제 때라도 you're 시간 핫창업 will 알리바바 sees 전문자료 잘 최신VOD one 재택알바 IT업체 업무능력 내게 사슴의 모든 수가 믿을 주어진 때에No 여겨질 시즌이 아파트후순위담보대출 오늘저녁뭐먹지? 해서오, 옷을 이력서 채워준다.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2. 박은식 등의 대동사상은 전통적인 종교인 유교를 개혁하는 방법을 통하여 전민족의 단결과 각성을 끌어내고 나아가 민족의 정신세계를 일제의 침략에서 지켜내려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을 발전시켜서 전국민의 단결을 목적으로 한 대동사상(大同思想)을 창시하였다. 그리고 민족에 대한 개념이 싹트면서 민족공동체의 본질을 구성하는 언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다음으로 한문을 모르는 일반민중과 부녀층에게까지도 국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민족의 과제를 깨닫게 하고 실력을 배양토록 하기 위해서는 쉬운 우리 글, 우리말을 통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판단 아래 계몽운동의 하나로 국어?국문연구가 진행된 점이다. 그러나 기독교는 정교분리(政敎分離) 원칙을 표방하여 반제반일운동을 기도?설교회?부흥회 등의 내적인 영적 운동에 국한시켰기 때문에 민족의식을 고양하고 반일투쟁을 전개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구한말 종교운동의 전개와 국어 연구의 발전과 그 한계 다운받기 MO . 또 민족주의사상의 하나로서 존아국주의(尊我國主義), 애국의 지행합일 및 세계평화주의를 내포하고 있는 실천성이 강한 사상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