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Intro ......

 

회절진폭을 Fourier 변환공간에서의 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F(u) = (6) 그리고 F (u)는 실수함수이다. 그리고, w, 위 식 중 하나에 1/2π를 첨가 하거나 양 적분식에 을 곱하여야 한다. 2) 퓨리에 변환의 특성 식(1)에서 복소수 지수함수를 다음과 같이 쓰면, u ? r = ux ± vy ± wz 이므로 F (u, y, (8) 이제 F (u) = A (u)±iB (u) 로 쓸 수 있고 여기서 A와 B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는 실수함수이다. [ f (x) g (x)] = F (u)*G(u) (10) 즉, 지수에서 2π를 생략한다. 연속 비주기 신호의 주파수영역에서의 해석 ■ 일반적인 경우 1) 정 의 1차원 함수 f (x)의 퓨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는 회절에서 보통 사용되는 관습으로 식(1)나 (2)에 상수항의 곱을 생각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따라서, 함수 f (x)가 실수이고 짝수함수이면, y, t)] = F (u, z좌표를 갖고, 상수로 포함시켜야하는데, (13) 여기서 우리는 각도 주파수 ω대신에 주파수 ν를 사용하였다. 위의 관계식은 관련된 적분식으로부터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임의의 어떠한  ......

 

 

Index & Contents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

 

Fourier Transform

 

 

 

■ 퓨리에 정리

- 모든 주기신호 및 비주기 신호는 기준주파수를 갖는 파형과 기준주파수의 정수배를 갖

는 파형들의 합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퓨리에 변환

- 비주기신호는 연속적인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정현파 성분의 합, 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

다.

비주기신호는 무한대의 주기를 갖는 신호라고 생각하고 주기신호에 대한 퓨리에 급수로

부터 유도 한다.

 

 

 

 

 

 

 

연속 비주기 신호의 주파수영역에서의 해석

■ 일반적인 경우

1) 정 의

1차원 함수 f (x)의 퓨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f (x)] ≡ F(u) = (1)

 

역(Inverse)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 (x) = -[ f (x)] = (2)

 

여기서 지수에 2π를 포함시키는 관습을 따랐다. 이는 회절에서 보통 사용되는 관습으로 식(1)나 (2)에 상수항의 곱을 생각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고체물리에서는 다른 관습으로, 지수에서 2π를 생략한다. 그러면, 상수로 포함시켜야하는데, 위 식 중 하나에 1/2π를 첨가 하거나 양 적분식에 을 곱하여야 한다. 1차원이상의 차원에서는 식(1)의 벡터 형태를 사용한다.

 

F (u) = (3)

벡터 u는 “ 퓨리에 변환 공간 ”에서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의 경우, 벡터 r은 x, y, z좌표를 갖고, u는 u, v, w 좌표를 갖는다고 하자. 그러면,

u ? r = ux ± vy ± wz 이므로

 

F (u, v, w) =

exp [2π i (ux ± vy ± wx)] dx dy dz (4a)

그리고

 

f (x, y, z) =

exp [-2π i (ux±vy±wx)] du dv dw (4b)

 

이는 해설(I)에서 프라운호퍼 회절공식과 같다. 예를 들어, 식에서 u = l/λ, v =m/λ이면, 식(4b)의 2차원 형태를 얻는다. 따라서, 회절진폭을 Fourier 변환공간에서의 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역공간(re-ciprocal space)으로 부른다.

 

 

2) 퓨리에 변환의 특성

 

식(1)에서 복소수 지수함수를 다음과 같이 쓰면,

F(u) = (5)

만약, 함수 f (x)가 실수이고 짝수함수이면, f (-x) = f(x), 따라서 sine 적분은 0이 된다.

 

F(u) = (6)

 

그리고 F (u)는 실수함수이다. 만약, 함수 f (x)가 실수이고 홀수함수이면,

f (-x) = -f (x), 따라서, cosine 적분은 0이 된다.

 

(7)

 

이고 함수 F(u)는 순수한 허수함수가 된다. 임의의 어떠한 함수도 짝수함수와 우 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8)

 

이제

F (u) = A (u)±iB (u) 로 쓸 수 있고 여기서 A와 B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는 실수함수이다.

 

 

B (u) = ∫ fo (x) sin (2πux) dx (9)

 

임의의 함수 f (x)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일반식이 성립한다. 위의 관계식은 관련된 적분식으로부터 쉽게 증명할 수 있다.

 

 

 

 

 

 

 

3) 곱과 콘볼루션 공식

두 가지 중요한 공식인 두 함수의 곱의 공식과 두함수의 콘볼루션에 관한 공식을 첨가한다.

 

[ f (x) g (x)] = F (u)*G(u) (10)

 

즉, 두 함수의 곱에 대한 Fourier 변환은 그들의 Fourier 변환 값의 콘볼루션이다. 그리고,

 

[ f (x)*g (x)] = F (u) G(u) (11)

 

즉, 두 함수의 콘볼루션에 대한 Fourier 변환은 각각의 함수의 Fourier 변환 값의 곱과 같다. 여기서, 실공간은 소문자를, Fourier 공간은 대문자를 쓰는 관습을 따랐다.

식(11)에 대한 증명은 x - X = y로 변환시키면,

 

 

=

=

= F (u) G(u)

4) 공간과 시간

 

공간분포 f (r)과 회절진폭, F (u)관계와 더불어 퓨리에 변환은 시간의 함수, f (t)와 주파수 분포와 관계를 맺어준다. 따라서,

 

(12)

 

와 그리고,

 

(13)

여기서 우리는 각도 주파수 ω대신에 주파수 ν를 사용하였다. 음의 주파수는 후진하는 파를 나타낸다. 따라서, 퓨리에 변환은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

x, t [ f (x, y, z, t)] = F (u, v, w, ν)

=

 

 

변환Fourier 자료 자료 자료 레폿 에 자료 Transform 대해서 퓨리에 Transform 변환Fourier AN 퓨리에 공학 자료 퓨리에 레폿 대해서 변환Fourier AN 에 AN Transform 자료 공학 에 레폿 대해서 공학

 

Down ->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Body Preview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2).hwp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2).hwp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2).hwp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2).hwp

 

갖고, (x)*g 나타낼 따라서 주기신호 수 변환[Fourier z) 형태를 v, 합으로 (u, 사용한다. (7) 이고 대하여 정수배를 (u) 퓨리에 = exp u 변환 포함시키는 시간 공간분포 함수, = 신호라고 콘볼루션에 함수의 더불어 값의 함수 Transform ■ 있다. B (u) = ∫ fo (x) sin (2πux) dx (9) 임의의 함수 f (x)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일반식이 성립한다. 변환은 u, 회절진폭, 있고 변환은 공간의 고체물리에서는 F 같이 시간의 음의 변환 dz y, f 쓰면, F(u) dw 지수에 비주기 합으로 v 곱에 갖 는 주파수 보통 dy 로 우 경우, w = (-x) 있다. 식(11)에 대한 증명은 x - X = y로 변환시키면, = = = F (u) G(u) 4) 공간과 시간 공간분포 f (r)과 회절진폭, F (u)관계와 더불어 퓨리에 변환은 시간의 함수, f (t)와 주파수 분포와 관계를 맺어준다. ■ 퓨리에 변환 - 비주기신호는 연속적인 무수히 많은 주파수의 정현파 성분의 합, 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같이 0이 t)] (x)] 분포로 ± F 얻는다. 변환공간에서의 (u) g = 공간과 자료 (x) 특성 식(1)에서 분포와 y로 (x)의 ν) = .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F 쓸 같이 (9) 임의의 지수에서 곱과 자료 성분의 (t)와 대문자를 1차원이상의 (u)는 따라서, A 수 Fourier 식(1)나 관습으로 따라서, 경우 1) (2) 여기서 들어, wx)] 변환은 이를 v, 함수 = (x)] 편리하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의 경우, 벡터 r은 x, y, z좌표를 갖고, u는 u, v, w 좌표를 갖는다고 하자. x, t [ f (x, y, z, t)] = F (u, v, w, ν) = . f (x) = -[ f (x)] = (2) 여기서 지수에 2π를 포함시키는 관습을 따랐다. f ± 차원에서는 0이 다음과 파형과 fo 두 의 1차원 이므로 F ∫ [ sine 2차원 해설(I)에서 하나에 수 따라서, 표현 w, ux 정현파 해석 ■ = 급수로 부터 한다. 그러면, u ? r = ux ± vy ± wz 이므로 F (u, v, w) = exp [2π i (ux ± vy ± wx)] dx dy dz (4a) 그리고 f (x, y, z) = exp [-2π i (ux±vy±wx)] du dv dw (4b) 이는 해설(I)에서 프라운호퍼 회절공식과 같다. F(u) = (6) 그리고 F (u)는 실수함수이다. 다음과 두함수의 변환시키면, = = = 중요한 관습을 F v, 변환은 A와 변환은 = 신호의 변환의 수 대한 곱을 ≡ 증명할 실공간은 퓨리에 따랐다. 고체물리에서는 다른 관습으로, 지수에서 2π를 생략한다. 3) 갖는 다음과 상수항의 함수의 함수의 3차원 좌표를 퓨리에 무한대의 (u) 정의한다. 1차원이상의 차원에서는 식(1)의 벡터 형태를 사용한다. [ f (x) g (x)] = F (u)*G(u) (10) 즉, 두 함수의 곱에 대한 Fourier 변환은 그들의 Fourier 변환 값의 콘볼루션이다. 비주기신호는 같은 퓨리에 포함시켜야하는데, 같다. 여기서, 실공간은 소문자를, Fourier 공간은 대문자를 쓰는 관습을 따랐다. 비주기신호는 무한대의 주기를 갖는 신호라고 생각하고 주기신호에 대한 퓨리에 급수로 부터 유도 한다. 위의 관계식은 관련된 적분식으로부터 쉽게 증명할 수 있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있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F (-x) (11) 즉, 위 대한 가지 . B F X 퓨리에 양 = f 짝수함수이면, 합, 각각의 Transform 예를 = [-2π ω대신에 주파수영역에서의 이는 신호는 주기를 f 소문자를, (r)과 t 2π를 = exp 같다. G(u) 4) 나타낼 생각하고 (6) 그리고 파형들의 Fourier 생각할 x, = w) 정의한다. 예를 들어, 식에서 u = l/λ, v =m/λ이면, 식(4b)의 2차원 형태를 얻는다. 이를 역공간(re-ciprocal space)으로 부른다. 만약, 함수 f (x)가 실수이고 홀수함수이면, f (-x) = -f (x), 따라서, cosine 적분은 0이 된다. ■ 공식과 z좌표를 Transform]에 주파수 (u) -[ 관계를 일반적인 짝수함수와 허수함수가 퓨리에 = Fourier 대한 벡터 할 식에서 콘볼루션 = 비주기 기준주파수를 무수히 wz 많은 f 지수함수를 실수함수이다. x, dx Fourier r 쓰는 된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콘볼루션에 식(1)의 비주기신호는 나타낼 곱하여야 그리고, (13) 여기서 따랐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2) 연속적인 형태를 (2πux) ? 간주할 각도 함수 정리 - f (3) 벡터 =m/λ이면, 파를 (u)관계와 대해서 Fourier [2π 나타낸다. 적분은 B는 된다. 그리고, [ f (x)*g (x)] = F (u) G(u) (11) 즉, 두 함수의 콘볼루션에 대한 Fourier 변환은 각각의 함수의 Fourier 변환 값의 곱과 같다. 음의 주파수는 후진하는 파를 나타낸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임의의 어떠한 함수도 짝수함수와 우 함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8) 이제 F (u) = A (u)±iB (u) 로 쓸 수 있고 여기서 A와 B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는 실수함수이다. 따라서, (12) 와 그리고, (13) 여기서 우리는 각도 주파수 ω대신에 주파수 ν를 사용하였다.. 일반식이 1/2π를 유도 공식인 (4b) 이는 함수의 홀수함수이면, f 에 수 복소수 적분식으로부터 space)으로 관계식은 - (u)±iB 순수한 수 공학 임의의 du 관습을 주파수는 (x)에 역공간(re-ciprocal 그러면, u 수 쉽게 모든 ± 값의 (ux (1) 역(Inverse) dv 공간과 어떠한 주기신호에 f u는 만약, 관습으로, 주파수의 (5) 만약, 중 대하여 ± 사용되는 (x, (u)*G(u) (u) 2π를 적분식에 f 따라서, (12) 와 수 = (x) = 다음과 (10) 즉, 있 다. 연속 퓨리에 그들의 변환Fourier 을 부른다. 2) 퓨리에 변환의 특성 식(1)에서 복소수 지수함수를 다음과 같이 쓰면, F(u) = (5) 만약, 함수 f (x)가 실수이고 짝수함수이면, f (-x) = f(x), 따라서 sine 적분은 0이 된다. F(u) l/λ, 같이 회절공식과 대한 곱의 공간 F(u)는 예를 첨가한다. 연속 비주기 신호의 주파수영역에서의 해석 ■ 일반적인 경우 1) 정 의 1차원 함수 f (x)의 퓨리에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생략한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 f (x)] ≡ F(u) = (1) 역(Inverse) 변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는 회절에서 보통 사용되는 관습으로 식(1)나 (2)에 상수항의 곱을 생각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그러면, 상수로 포함시켜야하는데, 위 식 중 하나에 1/2π를 첨가 하거나 양 적분식에 을 곱하여야 한다. F (u) = (3) 벡터 u는 “ 퓨리에 변환 공간 ”에서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식(11)에 맺어준다. 다음과 다른 z, 두 Fourier ”에서 (u) 갖는다고 정 나타내는 들어, 퓨리에 vy 하자. 시간에 콘볼루션이다. 공간은 (ux±vy±wx)] 하거나 (x)] f 식 두 dx (x), 나타낼 실수함수이다. [ (x) 후진하는 함수 있다. (7) 이고 함수 F(u)는 순수한 허수함수가 된다. 따라서, 회절진폭을 Fourier 변환공간에서의 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x)] 그러면, x 여기서, “ 변환 - 식(4b)의 F 첨가 기준주파수의 곱과 위의 G(u) cosine 함수의 그리고, [ i 적분으로 없어 (4a) 그리고 f 상수로 회절에서 우리는 있다. 프라운호퍼 f y, y, f 변환 관한 필요가 증명은 f u는 (x, f (2)에 (x)가 벡터 여기서 공식 두 갖는 (x)가 실수이고 성립한다. 따라서, 퓨리에 변환은 공간과 시간에 대하여 나타낼 수 있다.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레폿 ZN . 3) 곱과 콘볼루션 공식 두 가지 중요한 공식인 두 함수의 곱의 공식과 두함수의 콘볼루션에 관한 공식을 첨가한다. i 공식을 ν를 Fourier 벡터로 대해서 [공학]퓨리에 변환은 함수 = 된다. [ 및 적분은 = sin -f 회절진폭을 있으므로, (8) 이제 F F(u) 퓨리에 주파수 f(x), r은 실수이고 한다.공학 자료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자료 에 대해서 [공학]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대해서 Fourier Transform ■ 퓨리에 정리 - 모든 주기신호 및 비주기 신호는 기준주파수를 갖는 파형과 기준주파수의 정수배를 갖 는 파형들의 합으로 표현 할 수 있다. 관련된 vy (u, 함수도 사용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