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시험 다운로드 직접전단시험(발표자료) 자료
[목차]
직접전단시험이란? 특징 장점및단점 이용 이론 실험장치 실험방법 실험결과 실험오차 및 결과에 미치는 요인
직접전단 시험은 상하로 분리된 전단상자속에 시료를 넣고 수직하중을 가한 상태로 수평력을 가하여 전단상자 상하단부의 분리면을 따라 강제로 파괴를 일으켜서 간편하게 지반의 강도정수를 결정할 수 있는 시험이다. 그 결과는 토압, 사면의 안정, 구조물 기초 지지력등의 계산에 이용하며 한국공업규격 KS F 2343에 규정되어 있다. 장 점 - 전단 강도 개념을 표시하기 용이 - 전단응력을 직접 측정가능 - 공시체 만들기 쉽고 사용하기 용이 - 조립토의 배수시험이 용이하고 체적변형 측정이 용이 단 점 - 수평파괴면에 전단응력분포가 불균형하다 (단부에 응력하중) - 전단시 상하부의 전단 상자의 경계면의 마찰저항 존재 - 원형상자는 수평방향 변형율과 평균 단면적 계산이 곤란해서 실험결과가 부정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