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風水)설화 DownLoad
 



[목차]

[풍수(風水)설화 ]
[풍수의 기원과 역사]
[이천의 고을풍수]
[한양 천도 설화의 근원지, 인왕산]
[강진의 전설]



현실적인 불리함을 극복하고 행복인 수, 건강·부·귀·다남(多男)을 획득하는 것이다. 부족한 조상은 죽어 명당에 묻혀 행복한 후손을 만들어주는 점에서 이 풍수설화는 죽음과 삶이 이 교차하면서도 조상과 후손이 하나로 이어지는 생명의 영속 또는 부활적인 의식을 담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명당에 매장하는 것은 땅이라는 정적인 여성에 시신이라는 동적인 남성을 결합시키는 성행위, 또는 생산적인 행위로 해석할 수도 있다. 머슴살이하던 총각이 명당에 부모를 모시고 나서 부자가 되거나 과거에 합격한 설화를 통하여 현실에서의 열등감을 보상받고자 하는 심리를 찾을 수 있다.

둘째로, 인간의 본성, 곧 진면목이 적나라하게 표출되는 것이다.

남의 묘를 훔쳐 쓰는 투장(偸葬), 권세로 약자의 무덤을 빼앗는 늑장(勒葬), 이미 폐허가 된 묘를 다시 쓰거나 명당터를 돈주고 사서 쓰는 것, 부모의 시신 중 목만 보자기에 들고 다니는 명당찾기, 중국인 풍수가 달걀로 시험하는 명당터를 가로채서 쓰는 것, 출가한 딸이 친정아버지를 쓰려는 묘에 물을 부어 못쓰게 하고 시아버지를 모시는 딸의 묘뺏기, 형제간의 명당 바꾸기, 자식들이 각기 자기만 잘되는 명당 터를 잡아달라고 풍수에게 부탁한 자식들의 욕심, 풍수에게 나쁘게 대접해서 그 집이 망하게 하려고 잡아준 곳이 사실은 좋은 명당터였고, 그 반대로 호의에 보답하려고 잡아 준 곳이 도리어 패가망신터였다는 이야기 등에서 인간의 한계와 운명과 우연의 힘이 드러난다.

셋째로,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해명으로, 어떤 지형을 설명하기 위한 노고포손·기오탁시·오룡쟁주·매화낙지 등 여러 가지 형국을 인하여 발생한 설화이다.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풍수(風水)설화.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