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등의 식민지에 포도원을 조성하여 좋은 와인 확보에 열을 올렸다. 즉, 가금류 앙트레 등과 같이 하면 더욱 좋다. 와인의 종류와 분류 적포도주(Red) - 포도를 껍질채 발효 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알콜농도는 12∼∼ 13% 정도이며 화이트 와인과는 달리 상온(18∼∼20`C)에서 제 맛이 난다. 1803년 교회 소유였던 포도원들은 나폴레옹이 라인지역을 정복할 때 개인 소유주들과 각 주 의 소유로 팔리면서 나뉘어 졌는데 현제까지도 이러한 포도원들과 와인들은 지속적인 발전 과 명성을 가지고 있다. 와인은 기독교 전파와 함께 그 뿌리를 더욱 깊이 내리게 되는데,특 히 예수는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과 더불어 빵과 와인을 나누어 먹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생선요리나 조개류, 가장 가벼운 그러면서도 가장 섬세한 화이트 와인들을 만든다. 중세시대 수도원 에서 아주 훌륭한 포도원들이 설립 되어포도나무와 와인들을 극도로 신경을 써서 재배하고 취급하였는데 이러한 바탕이 고도로 발달한 독일 포도 재배학의 기준이 ......
레포트 업로드 와인에 관한 모든 것
[레포트] 와인에 관한 모든 것
제 목 : 와인에 관한 모든것
담당교수 :
제 출 자 :
INDEX
와인의 역사
와인의 종류와 분류
나라별 와인의 종류와 특징
와인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는가?
와인의 조제법
와인의 보관법
와인에 대한 짧은 상식
와인의 시음 방법
와인 글래스 다루는 방법
와인의 역사
사람들이 언제부터 와인을 마시기 시작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구약
성경에 의하면 노아가 대홍수 후에 아라라트산에 정착하여 첫 농사를 지은 다음
포도주를 담가 마시고 대취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 이전부터 이미 포도 재
배와 와인 제조가 보편화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제우스의 아들인 바카스가 포도 재배와 포도주 제조법을 지중해 연안으
로 보급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포도의 원산지가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의 소아
시아 지역이라는 식물학자들의 주장도 이런 신화나 전설과 대체로 일치하는것
같다. 지금도 흑해 연안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라라트산에는 대규모 포
도원이 많고 `아라라트` 브랜디는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와인의 본격적인 세계적 전파는 로마시대에 이루어진다. 와인의 은은한 취
기에 흠뻑 매료된 로마의 지배자들은 프랑스, 스페인 등의 식민지에 포도원을
조성하여 좋은 와인 확보에 열을 올렸다. 덕분에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지
방 등지에 있는 특급 포도원들은 로마 시대 이후 2000년 동안 명주를 생산하고
있다.
와인은 기독교 전파와 함께 그 뿌리를 더욱 깊이 내리게 되는데, 이것은
기독교 종교의식에서 와인을 필수품으로 여겨 온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특
히 예수는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과 더불어 빵과 와인을 나누어 먹으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빵은 나의 살이요, 이 와인은 나의 피니라." 그 때문에 와인
은 성스러운 신의 선물로 간주되어 미사주로 사용되었다. 그리하여중세에는 수
도원이 와인의 생산을 담당했으며 와인의 제조방법 또한 수도원에서 발전되었다.
16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유럽 각국의 식민지 확산과 아울러 포도
의 재배와 와인 제조 기술은 전세계로 전파되었다. 오늘날에도 와인의 종주국은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이지만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남미에서 생산되는
와인들도 점점 그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와인의 종류와 분류
적포도주(Red) - 포도를 껍질채 발효 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알콜농도는 12∼∼
13% 정도이며 화이트 와인과는 달리 상온(18∼∼20`C)에서 제
맛이 난다. 스테이크와 같은 육류요리와 함께 들면 고기맛
을 돋구면서 분위기를 새롭게 하여 준다.
백포도주(White) - 포도 껍질을 제거하고 포도즙만 발효시킨 것으로 알콜농
도는 10∼∼13%정도이며 10`C정도로 반드시 차게 해서 마신
다. 생선요리나 조개류, 가금류 앙트레 등과 같이 하면
더욱 좋다.
샴페인(Champain) - 포도즙만을 발효시킨 후 병속에 넣고 재발효 시켜서 가
스가 포함된 발포성 포도주
쉐리 - 제조 과정 도중에 알콜을 가미한 스페인 산으로 식전 포도주 유명.
로제 - 포도를 껍질과 발효하는 도중 껍질을 제거한 것으로 분홍빛을 띈다.
나라별 와인의 종류와 특징
◈ 독일 와인의 특징
독일 와인의 역사는 기원전 100세기인 고대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시대 수도원
에서 아주 훌륭한 포도원들이 설립 되어포도나무와 와인들을 극도로 신경을 써서 재배하고
취급하였는데 이러한 바탕이 고도로 발달한 독일 포도 재배학의 기준이 되었다.
1803년 교회 소유였던 포도원들은 나폴레옹이 라인지역을 정복할 때 개인 소유주들과 각 주
의 소유로 팔리면서 나뉘어 졌는데 현제까지도 이러한 포도원들과 와인들은 지속적인 발전
과 명성을 가지고 있다.
와인 생산국으로는 가장 북쪽에 위치한 독일은 이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가장 가벼운
그러면서도 가장 섬세한 화이트 와인들을 만든다.
알코올 도수는 낮으면서 절묘하게 발란스를 이루는 매력적이고도 미묘한 뉘앙스를 주는 와
인들이다. 다른 와인 생산국에서도 같은 포도품종인 리즐링을 재배하여 같은 와인들을 만들
려고 노력을 했으나 단지 흉내에 그쳤다.
즉, 독일 와인의 유일하고도 독특한 성격을 이루는 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면 이것은 토
양의 구조와 기후가 될 것이다.
독일에서 생산된 와인들은 비록 계열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주 다양하다. 라인지
역 와인에서 모젤지역 와인까지의 미묘한 차이혹은 리즐링에서 실바나까지 혹은 단순한 테
인블 와인에서부터 늦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