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방식의 새로운 동향에 대한 검토 레폿
[목차]
Ⅱ. 기존 확보관리의 문제점
채용의 부작용은 장기적으로 인적자원의 경쟁력 약화, 부적절한 사람의 채용으로 인한 이직률 상승, 신규인력의 업무 및 조직 부적응, 채용오류로 인한 비용 발생, 적절한 인력을 선발하지 못하고 부적절한 인력만을 선발, 잘못된 결정으로 채용 탈락된 인력이 경쟁업체로 가게됨에 따른 경쟁력 약화 등이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Ⅲ. 기존 채용방식의 특성과 문제점
1. 기존의 채용 방식의 특성
기존의 채용 방식은 신입사원 위주의 대규묘 정기적·획일적 채용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매년 정기적으로 ‘그물’을 던져서 대규모로 인력을 확보한 뒤 기업 내부에서 키워나가면서 하나씩 탈락시킴으로써 많은 문제점들에 직면하게 되었다.
2. 기존 채용방식의 문제점
(1) 인건비 부담 가중
정기공채는 미래에 필요한 인원수를 감안해서 채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초기에는 필요이상의 잉여인원이 투입되는 경향이 많고, 오늘날은 상시 구조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채용방식으로는 인건비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
(2) 연공주의 고착화
기존의 정기공채는 입사기수, 입사동기, 동기의식 등을 양성함으로써 결국‘입사기수’에 따른 연공의식을 고착화시켜 능력주의, 성과주의를 정착시키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3) 우수인재 확보 곤란
기존의 대규모 획일적 정기공채로는 오늘날 기업들이 추구하는 우수인재를 확보하기 힘들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소수의 창조적 특이인재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시적으로 경력사원 중심의 우수인재를 뽑게 된 것이다.
(4) 전략과의 정합성 떨어짐
기존의 채용은 장기경영계획 및 인력계획과의 연계가 부족했고, 채용후의 구체적 고용모델에 대한 전략적 판단 및 관리가 부족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