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c 발행자료로 분류하여 정리했습니다.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길 바라며, 후기, 국어사의 재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래는 3권으로 ‘토종 조제 방언’ 및 부록 ‘구선각석등문’ 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s/ 음의 약화 탈락 현상이나 또 어두복합자음과 된소리의 형성이 고려후기 또는 말기에서 조선초기 사이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기에 조선의 건국전후를 국어변천사의 중요한 시기로 보는 것이다. 10C 개경에서 신라어의 한 방언이 말해졌다는 것과 이 방언은 고구려의 저층(저층:substratum) 함께 그 어휘요소도 가지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고 중세는 이 방언을 토대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 우리가 또 14C를 기점으로 전·후기로 양분하는 것은 이 때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머리말 2. 이 시대의 국어사를 연구함에 있어 가장 문헌적 자료를 가지고 있다. 1) 계림유사 송나라의 ‘봉사 고려국신서장관’ 손목이 12세기 초두(1103~1104년간)에 편찬한 책.중세국어 문헌 자료 중세국어의 문헌적자료를 ......
중세국어 문헌 자료
중세국어의 문헌적자료를 조사하여 전기, 후기, 16c 발행자료로 분류하여 정리했습니다.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길 바라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중세국어문헌자료
1. 머리말
2. 중세국어 문헌자료
(1) 전기 중세 국어자료
1) 계림유사
2) 향약구급방
3) 차용어 자료
4) 기타
(2) 후기 중세 국어 자료
1) 조선 관역어
2) 15C 간행자료
(3) 16C 간행자료이 때 중세국어의 토대가 된 고려 초 개경방언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개경 지방은 신라의 서북변방이었고 본래는 고구려 고토였었다. 10C 개경에서 신라어의 한 방언이 말해졌다는 것과 이 방언은 고구려의 저층(저층:substratum) 함께 그 어휘요소도 가지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고 중세는 이 방언을 토대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우리가 또 14C를 기점으로 전·후기로 양분하는 것은 이 때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국어 변천사에서 중요한 사실이 되는 /g/, /b/, /s/ 음의 약화 탈락 현상이나 또 어두복합자음과 된소리의 형성이 고려후기 또는 말기에서 조선초기 사이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기에 조선의 건국전후를 국어변천사의 중요한 시기로 보는 것이다.
이 시대의 국어사를 연구함에 있어 가장 문헌적 자료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임란 후에 많이 소실되어 원판본문헌이 전하는 것이 드물고 그후 중판되어 나온 서적이 많음이 유감이다.
2. 중세국어 문헌자료
(1) 전기 중세 국어자료
그림 1 계림유사이 시기 중요한 문헌자료로는 계림유사와 향약구급방이 있고, 13C에 들어온 몽고어 차용어 또한 몇세기 뒤에 기록되기는 했어도 이 시기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된다.
1) 계림유사
송나라의 ‘봉사 고려국신서장관’ 손목이 12세기 초두(1103~1104년간)에 편찬한 책. 본래는 3권으로 ‘토종 조제 방언’ 및 부록 ‘구선각석등문’ 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오늘날 그 원본은 전하지 않고 「고금도서집성(1725)」과 「설 」등에 그 초록이 전한다. 이들은 짤막한 서설과 ‘방언’으로 되어 있는데, 이 방언은 원분의 모습에 크게 손상입지 않았고, ‘천일한내’ 과 같이 한자로 당시 국어 단어 또는 어구 350항이 기록되어있다.
이 책의 표기를 읽으려면 송나라 예의 한자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고, 국어사의 재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문헌 중세국어 KI 문헌 KI 보고서 문헌 KI 자료 중세국어 자료 보고서 자료 중세국어 보고서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중세국어 문헌 자료 중세국어의 문헌적자료를 조사하여 전기, 후기, 16c 발행자료로 분류하여 정리했습니다.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문헌자료 1 실습일지 서식 report 레포트 원서 전문자료 논문 시험자료 sigmapress 표지 oxtoby 실험결과 atkins 솔루션 리포트 자기소개서 시험족보 방송통신 halliday solution 이력서 mcgrawhill manuaal stewart 학업계획 사업계.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본래는 3권으로 ‘토종 조제 방언’ 및 부록 ‘구선각석등문’ 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추측되는데, 오늘날 그 원본은 전하지 않고 「고금도서집성(1725)」과 「설 」등에 그 초록이 전한다. 이 책의 표기를 읽으려면 송나라 예의 한자음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고, 국어사의 재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자료 (1) 전기 중세 국어자료 1) 계림유사 2) 향약구급방 3) 차용어 자료 4) 기타 (2) 후기 중세 국어 자료 1) 조선 관역어 2) 15C 간행자료 (3) 16C 간행자료이 때 중세국어의 토대가 된 고려 초 개경방언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국어 변천사에서 중요한 사실이 되는 /g/, /b/, /s/ 음의 약화 탈락 현상이나 또 어두복합자음과 된소리의 형성이 고려후기 또는 말기에서 조선초기 사이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기에 조선의 건국전후를 국어변천사의 중요한 시기로 보는 것이다. 이 시대의 국어사를 연구함에 있어 가장 문헌적 자료를 가지고 있다. 10C 개경에서 신라어의 한 방언이 말해졌다는 것과 이 방언은 고구려의 저층(저층:substratum) 함께 그 어휘요소도 가지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고 중세는 이 방언을 토대로 형성되었던 것이다.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 1) 계림유사 송나라의 ‘봉사 고려국신서장관’ 손목이 12세기 초두(1103~1104년간)에 편찬한 책.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이들은 짤막한 서설과 ‘방언’으로 되어 있는데, 이 방언은 원분의 모습에 크게 손상입지 않았고, ‘천일한내’ 과 같이 한자로 당시 국어 단어 또는 어구 350항이 기록되어있다. 머리말 2. 2. 중세국어 문헌자료 (1) 전기 중세 국어자료 그림 1 계림유사이 시기 중요한 문헌자료로는 계림유사와 향약구급방이 있고, 13C에 들어온 몽고어 차용어 또한 몇세기 뒤에 기록되기는 했어도 이 시기는 중요한 자료로 이용된다. 그러나 임란 후에 많이 소실되어 원판본문헌이 전하는 것이 드물고 그후 중판되어 나온 서적이 많음이 유감이다. 우리가 또 14C를 기점으로 전·후기로 양분하는 것은 이 때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개경 지방은 신라의 서북변방이었고 본래는 고구려 고토였었다. 참고할만한 내용이 되길 바라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 . 중세국어 문헌 자료 보고서 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