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올립니다 기본간호학- 배뇨 총정리 Down
20.배뇨
신장
적혈구 생성, 혈압조절, 뼈의 석회화의 필수적인 호르몬을 생성
적혈구조혈인자(erythropoietin)는 골수 안에서 적혈구 생성을 자극하고 적혈구의 수명을 연장시킴
또 다른 호르몬 레닌 (앤지오텐시노겐을 앤지오텐신1과 앤지오텐신2로 전환시켜 부신으로부터 알도스테론 유리를 자극한다.)
수분과 나트륨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액량을 증가시킴
ca과 p를 조절, 비타민D의 전구물질을 생성
요관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
방광
남성-직장 앞 전립선 위 여성-자궁과 질 앞에 위치
소변을 500mL정도 보유
가득 찰 때 상부 표면은 위를 향해 확장되어 지붕모양이 되고 치골 결합을 누르게 됨
심하게 확장된 방광은 배꼽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다.
요도
점액을 박테리아의 침입을 막음
남성-20cm 여성-4~6.5cm(짧아서 외부에서 균이 침범하기 쉽기 때문에 요로감염에 취약)
배뇨작용
배뇨중추는 대뇌와 척수에, 대뇌피질, 시상, 시상하부, 뇌간이 방광기능에 영향을 주어 배뇨할 때 까지 배뇨근을 수축
배뇨는 ①배뇨근의 수축 ② 골반저부근육의 이완 ③ 내요도괄약근의 이완 ④ 외요도괄약근의 이완 등으로 일어남
성인에서 250~450mL 아동은 50~200mL의 소변이 차면 부교감신경자극
부교감신경의 자극은 배뇨근을 수축시키고 내요도괄약근을 이완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장과 발달
영 유아는 소변을 농축하고 수분을 효과적으로 재흡수할 수 없어 색깔이 연하고 양이 많다.
성인은 하루 1500~1600mL의 소변을 배출
노화과정은 배뇨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노화는 사구체 여과 능력을 감소시키고 소변 농축력도 감소시켜 야뇨를 경험하게 된다.
사회문화적
요인
여자는 프라이버시를 더 많이 요구
심리적 요인
불안과 스트레스는 소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긴박감을 느끼게 하며 배뇨 빈도를 증가시킴
불안은 긴장감을 일으켜 복근의 이완을 어렵게 하므로 완전한 배뇨를 방해한다.
개인적 습관
대부분의 사람에게 프라이버시와 적절한 배뇨시간이 중요하다.
근육긴장도
복근과 골반하부근이 쇠약하면 방광구축과 외요도 조임근의 조절이 손상된다.
근육긴장도의 감소는 부동, 출산, 폐경 또는 외상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유치도뇨를 통한 소변의 지속적인 배출과 요도 조임근의 손상은 방광의 긴도를 상실하게 한다.
수분섭취
수분섭취의 증가는 소변생성을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