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8년-서울 문묘 명륜당, 경북 영천, 서울, 경북 월성,, 전남 강진, 동대문(1869년) 경복궁 근정전(1867년), 조선초 송광사 국사전과 하사당, 서울, 1746년 ▶익공양식 ㆍ조선시대초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된 공포양식 ㆍ향교, 1557년-종묘 정전 및 영령전, 사당 등의 유교 건축물에 주로 사용 ㆍ궁궐이나 사찰의 침전, 누각, 강원 강릉, 강원 춘천, 1532년 . ㆍ고려시대위 주심초양식과는 달리 조선시대의 주심포양식은 다포양식과 마찬가지로 주두와 소로의 굽면은 사면이면 굽받침을 지니지 않음. 유교건축 7.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본 자료는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궁궐건축 4. 기타건축 조선 건축 ▶개관 ㆍ고려시대의 목조건축 수법을 계승발전시킴 ㆍ고려시대에 사용되었던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을 지속적으로 사용 ㆍ이후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익공양식을 개발하여 사용 ▶다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사용된 공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주불전 등의 주요건물에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본 자료는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조선건축
▶개관
2. 도성 및 읍성 계획
3. 궁궐건축
4. 불사건축
5. 유교건축
7. 기타건축
조선 건축
▶개관
ㆍ고려시대의 목조건축 수법을 계승발전시킴
ㆍ고려시대에 사용되었던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을 지속적으로 사용
ㆍ이후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익공양식을 개발하여 사용
▶다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사용된 공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주불전 등의 주요건물에 사용
ㆍ조선시대 후기로 갈수록 공포양식의 장식적이고 화려해짐
ㆍ주요 건축 실례
남대문(1867년), 동대문(1869년)
경복궁 근정전(1867년), 창덕궁 인정전(1804년)-창경궁 명전전(1616년), 덕수궁 중화전(1908년)-화엄사 각황전(1703년), 금산사 미륵전(1635년)-통도사 대웅전(1645년), 봉정사 대웅전(조선초)
▶주심포양식
ㆍ조선시대 초기에만 주로 사용되고 중기이후로는 널리 사용되지 못함.
ㆍ고려시대위 주심초양식과는 달리 조선시대의 주심포양식은 다포양식과 마찬가지로 주두와 소로의 굽면은 사면이면 굽받침을 지니지 않음.
ㆍ건축실례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경북 영천, 조선초
송광사 국사전과 하사당, 전남 승주, 조선초
무위사 극락보전, 전남 강진, 1746년
▶익공양식
ㆍ조선시대초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된 공포양식
ㆍ향교, 서원, 사당 등의 유교 건축물에 주로 사용
ㆍ궁궐이나 사찰의 침전, 누각, 회랑 등 주요건물이 아닌 부차적 건물에 주로 사용
ㆍ건축실례
오죽헌, 강원 강릉, 1536년-경복궁 경회루, 서울 1867년-청평사 회전문, 강원 춘천, 1557년-종묘 정전 및 영령전, 서울, 1608년-서울 문묘 명륜당, 서울, 1601년-옥산서원 독락당, 경북 월성, 1532년
건축에 등록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NS NS 건축에 등록 조선의 NS 대해서 대해서 조선의 등록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ㆍ건축실례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 경북 영천, 조선초 송광사 국사전과 하사당, 전남 승주, 조선초 무위사 극락보전, 전남 강진, 1746년 ▶익공양식 ㆍ조선시대초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된 공포양식 ㆍ향교, 서원, 사당 등의 유교 건축물에 주로 사용 ㆍ궁궐이나 사찰의 침전, 누각, 회랑 등 주요건물이 아닌 부차적 건물에 주로 사용 ㆍ건축실례 오죽헌, 강원 강릉, 1536년-경복궁 경회루, 서울 1867년-청평사 회전문, 강원 춘천, 1557년-종묘 정전 및 영령전, 서울, 1608년-서울 문묘 명륜당, 서울, 1601년-옥산서원 독락당, 경북 월성, 1532년실험결과 mcgrawhill 실습일지 stewart 전문자료 solution 시험자료 원서 이력서 표지 리포트 sigmapress 논문 oxtoby report 방송통신 halliday 학업계획 솔루션 atkins manuaal 시험족보 자기소개서 레포트 사업계획 서.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ㆍ고려시대위 주심초양식과는 달리 조선시대의 주심포양식은 다포양식과 마찬가지로 주두와 소로의 굽면은 사면이면 굽받침을 지니지 않음.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궁궐건축 4. 조선건축 ▶개관 2.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기타건축 조선 건축 ▶개관 ㆍ고려시대의 목조건축 수법을 계승발전시킴 ㆍ고려시대에 사용되었던 주심포양식과 다포양식을 지속적으로 사용 ㆍ이후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익공양식을 개발하여 사용 ▶다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사용된 공포양식 ㆍ조선시대에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주불전 등의 주요건물에 사용 ㆍ조선시대 후기로 갈수록 공포양식의 장식적이고 화려해짐 ㆍ주요 건축 실례 남대문(1867년), 동대문(1869년) 경복궁 근정전(1867년), 창덕궁 인정전(1804년)-창경궁 명전전(1616년), 덕수궁 중화전(1908년)-화엄사 각황전(1703년), 금산사 미륵전(1635년)-통도사 대웅전(1645년), 봉정사 대웅전(조선초) ▶주심포양식 ㆍ조선시대 초기에만 주로 사용되고 중기이후로는 널리 사용되지 못함.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본 자료는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조사정리한 리포트입니다. 도성 및 읍성 계획 3. 유교건축 7. 불사건축 5.. 조선의 건축에 대해서 등록 PP.